반응형
큐열(Q fever) 개요
큐열은 콕시엘라 부르네티(Coxiella burnetii)에 의해 발생하는 인수공통감염병으로, 소·양·염소 등 가축의 분만물·분비물에서 배출된 병원체가 공기 중 에어로졸로 퍼져 사람에게 감염되기 쉽우며 고열·두통부터 폐렴·간염까지 유발할 수 있습니다. 비살균 유제품 섭취나 오염 표면 접촉 후 손-입 접촉으로 드물게 전파될 수 있으며, 사람 간 전파는 매우 드뭅니다.
잠복기와 질병 경과
잠복기는 보통 2–3주입니다. 질병은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되며, 급성은 고열과 두통, 피로, 근육통이 특징이고, 진행 시 폐렴이나 간염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. 치료가 지연되거나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 만성 큐열(심내막염, 혈관 감염, 만성 간염 등)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
주요 증상(급성)
- 전신: 39℃ 전후의 고열, 심한 두통, 극심한 피로, 근육통, 오한·발한
- 호흡기: 마른기침, 흉통, 호흡곤란(폐렴 동반 시)
- 간담도: 우상복부 불편감, 오심, 간효소(AST/ALT) 상승
- 기타: 비특이적 발진, 관절통, 광과민
합병증과 고위험군
- 합병증: 폐렴, 간염, 심내막염(만성형), 혈관염
- 고위험군: 임신부, 심장판막질환/인공판막 보유자, 면역저하자, 고령자, 만성 간·신장질환자
진단
- PCR: 급성기 혈액/조직에서 병원체 DNA 검출(초기 민감도 높음)
- 혈청학(IFA 등): 급성기–회복기 쌍혈청에서 항체가 상승 확인(Phase II 상승은 급성, Phase I 우세는 만성 시사)
- 보조검사: 흉부 영상(폐렴 확인), 간기능 및 염증표지자
치료
- 일차 요법: 성인 급성 큐열은 독시사이클린이 표준 치료로 널리 사용됩니다. 증상 초기에 시작할수록 발열 기간과 합병증 위험이 감소합니다.
- 기간: 임상 경과를 고려하여 보통 10–14일 내외(의료진 판단).
- 특수상황: 임신부는 독시사이클린을 피하고, 의료진 지시에 따른 대체요법을 사용합니다. 만성 큐열(심내막염/혈관 감염)은 장기 복합요법 및 전문 치료가 필요합니다.
- 지지요법: 해열, 수분 보충, 휴식, 산소치료(폐렴 동반 시).
예방
- 현장 방역: 분만물·태반 밀폐수거 및 적절 폐기, 축사 환기, 분만실 분리 운영
- PPE: 분만·도축·청소 시 마스크(적합 필터), 고글/안면보호구, 장갑, 방진복
- 환경위생: 먼지 최소화, 적절 소독, 오염 구역 출입통제
- 식품안전: 비살균 유제품 섭취 지양, 충분 가열 조리
- 건강 모니터링: 고위험군·현장 종사자는 발열/두통 등 증상 시 즉시 검사 및 치료
- 백신: 일부 국가에서 제한적 사용. 적응증·접근성은 보건당국 지침을 따름
언제 진료가 필요한가
- 38.5–39℃ 이상의 고열이 48–72시간 이상 지속
- 심한 두통, 호흡곤란, 흉통, 황달 등 경고 증상
- 임신 중이거나 심장판막질환/면역저하 상태에서 의심 증상 발생
- 농장·도축장·분만 환경 등 확실한 노출 후 증상 발현
참고
WHO(세계보건기구), CDC(미국질병통제예방센터), 질병관리청 감염병 매뉴얼(큐열).
반응형